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시는 2025년 5월 20일부터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를 대상으로 월 최대 3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는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을 시행합니다. 이 사업은 출산 후에도 서울에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으로, 최대 4년간 총 1,440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신청 방법과 조건을 확인해보세요.
📌 지원 개요 및 주요 내용
- 지원 대상: 2025년 1월 1일 이후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
- 지원 금액: 월 최대 30만 원
- 지원 기간: 기본 2년, 추가 출산 시 최대 4년까지 연장 가능
- 지원 방식: 선지출 후정산 방식으로 6개월 단위 분할 지급
🔑 지원 조건 및 신청 자격
항목 | 내용 |
---|---|
거주 요건 | 부 또는 모가 서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자녀가 서울시에서 출생신고를 해야 함 |
무주택 요건 | 신청일 기준 무주택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공공임대주택(SH, LH 등) 거주자는 제외 |
소득 요건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예: 3인 가구 연 108,547,625원 이하) |
주거 요건 | 서울시 소재 전세보증금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 130만 원 이하의 임차주택에 거주 |
💡 지원 기간 연장 조건
다태아 출산 또는 지원 기간 중 추가 출산 시 지원 기간이 연장됩니다:
- 추가 출산 시: 자녀 1명당 1년 연장
- 쌍태아 출산 시: 1년 연장
- 삼태아 이상 출산 시: 2년 연장
최대 지원 기간은 4년이며, 총 지원 금액은 1,440만 원입니다.
📝 신청 방법 및 절차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0일(월) 오전 9시 ~ 7월 31일(목)
- 신청 방법: 서울시 임신·출산·육아 종합 플랫폼 몽땅정보만능키를 통해 온라인 신청
- 구비 서류:
- 임대차계약서 사본
- 전세대출 이자 납부 내역 또는 월세 이체 증빙
- 청약홈 주택소유현황(부·모 각 1부)
- 가족관계증명서(부·모 각 1부)
- 지급 일정: 신청 후 자격 검증 및 서류 심사를 거쳐 12월에 첫 6개월분 지급 예정
❓ 자주 묻는 질문(FAQ)
Q1. 반전세로 거주 중인데 신청 가능한가요?
네, 전세보증금의 월세 환산액과 월세를 합산하여 130만 원 이하이면 신청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전세보증금 1억 5천만 원(월세 환산액 약 60만 원)과 월세 60만 원을 합산하면 120만 원으로 기준에 부합합니다.
Q2. 지원 기간 중 주택을 구입하면 어떻게 되나요?
지원 기간 중 주택을 구입하거나 타 시·도로 이주하는 경우 지원이 중단됩니다. 단, 청약 당첨으로 분양권을 취득한 경우 입주 전까지는 지원이 유지됩니다.
Q3. 입양한 자녀도 지원 대상에 포함되나요?
네, 입양아의 경우 기준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내이면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Q4. 공공임대주택에 거주 중인데 신청할 수 있나요?
아니요, SH·LH 등 공공임대주택에 거주 중인 경우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Q5. 소득 기준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행정정보공동이용을 통해 신청자의 소득금액증명원을 조회하여 지난해 소득을 검증합니다. 신청 시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해야 합니다.
📣 마무리 및 안내
서울시의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은 출산 후에도 서울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하며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정책입니다.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가구는 신청 기간 내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몽땅정보만능키를 통해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정보나 문의 사항은 서울시 다산콜센터(☎ 02-120)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5.05.06 |
---|---|
2025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 총정리📌 신청 자격부터 일정, 방법까지! (0) | 2025.05.06 |
[2025 수산 공익직불금 총정리] 신청 방법부터 지급 금액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5.02 |
2025 여주시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지원 총정리 (0) | 2025.04.14 |
2025 광명시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신청 조건 총정리 (0) | 2025.04.14 |